스윙강습 4주차

☆ SWING 2010. 2. 6. 14:23

* Cuddle(Basic/yoyo)

 

○ Basic

-. 리더와 팔로워가 수평선상에서 안고 있는 모양을 만드는 동작

-. Cuddle 상태에서 리더/팔로워 모두 프레임과 당기는 힘(tension)을 유지해야 한다.

entry

- 리더:

1. Step(1, 2): 팔로워의 우측(리더의 좌측)으로 살짝 비키며 팔로어를 Inside UnderArm Turn을 시키되, 오른손을 풀지 않는다.

2. Step(3, 4): 자신의 우측으로 턴하며 들어온 팔로워를 쿠션 역할을 하며 감싸안는다.

팔로어의 교차된 양팔이 편할 수 있도록 허리측에 위치시킨다.

3. Step(5, 6): Cuddle 상태에서 마무리 Rock-Step을 한다.

서로 수평선상에 있으므로, 그 이후 Basic Step은 오른쪽/왼쪽이 아닌, 앞/뒤로 밟는다.

Cuddle 상태에서 Basic Step을 하며 다른 곳으로 이동 할 수 있다.

- 팔로어:

팔에 Frame을 풀지 않도록 주의한다. Cuddle 상태가 되면, 리더와 붙어 있게 되므로 리더의 무게중심 이동을 느끼며 Step을 밟도록 한다.

 

exit(Underarm Turn)

1. Rock(5)-Step(6): 리더가 오른쪽 어깨를 열면서 팔로워를 뒤로 깊이 후진시킨다.

2. Step(1, 2): 팔로워를 안쪽(리더의 정면쪽)으로 당겨오며, 왼손을 들어 Underarm Turn식으로 내보낼 벽을 만든다. 이 때는 리더, 팔로워의 몸이 모두 안쪽으로 좁혀진다.

3. Step(3, 4): 리더가 오른손 하박 부분으로 팔로워를 앞으로 내보내면서 팔로워를 Underarm Turn 시킨다. 이 때 왼손은 자연스럽게 풀어준다.

4. Rock(5)-Step(6): Open position 상태에서 Rock(5)-Step(6)으로 마무리

 

* Yoyo

-. 팔로워의 움직임이 장난감 요요와 유사한 동작으로 Cuddle에서 시작

-. Cuddle 상태로 리더에게 감겨있는 팔로어를 요요처럼 풀었다가 다시 감아온다.

entry

1. Rock(5)-Step(6): Cuddle 상태에서 리더가 오른쪽 어깨를 열면서 팔로워를 뒤로 깊이 후진시킨다. 리더, 팔로워 모두 좌측으로 치우친 모양이다.

2. Step(1, 2): 리더는 반대로 팔로워를 안쪽으로 끌어오며 왼손으로 막으며, step을 밟는다. 그리고 팔로워는 오른손이 막히며 반동력을 만든다. 이 때 리더와 팔로워가 서로 반대방향으로(리더 우측, 팔로워 좌측) 오므린 모양이 된다.

3. Step(3, 4):에서 리더는 팔로워의 오른손을 잡았던 왼손을 놓으면서, 막았던 반동과 오른쪽 손목에서 팔꿈치까지 하박 부분을 이용해 Cuddle에서 꼬였던 팔을 풀어 팔로워를 완전히 내보낸다. 리더의 리딩에 따라 보내는 방향은 바뀔 수 있다.

5. Rock(5)-Step(6): tension이 좌우로 벌어지므로, 측면으로 Rock(5)-Step(6)을 밟는다.

- 다시 첫 Step(7,8)에서 팔로워를 다시 감아 와야 하는데, 팔로워의 턴을 유도하기 위해 손목 스냅을 이용해서 당기는 리딩 신호에 방향성을 더한다. 위에서 보면 리더의 오른손이 'J' 모양을 그리게 된다. 손목 스냅을 이용해서 감아오는 리딩이 익숙해 질 경우 몸으로 'J' 모양을 그리며 감아오도록 한다.

- 이제 두 번째 Step(9,10)까지 하면 원래의 Cuddle 상태로 돌아오며, 리더는 왼손으로 팔로워의 오른손을 다시 잡는다. 이 때, 팔로워는 오른손이 왼팔 아래로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 완전히 Cuddle이 되면 Rock(11)-Step(12)으로 마무리 한다.

 

exit

- Yoyo에서 Cuddle로 되돌아오지 않고 UnderArm Turn으로 내보낼 수 있다.

- Cuddle에서 Yoyo로 내보내고 Rock(5)-Step(6) 한 후 다음 첫 Step(7,8)에서 리더는 팔로워를 감아오는 신호를 준 후 재빠르게 팔로워의 좌측으로 이동해 자유롭게 놓여있고 지면과 평행하게 유지되던 팔로워의 오른손을 잡고 UnderArm Turn을 한다.

- 처음에는 이러한 리딩이 쉽지 않기 때문에 시각적인 connection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Rock(5)-Step(6) 한 후 다음 첫 Step(7,8)에서 리더는 팔로워를 감아오는 신호를 준 후 재빠르게 팔로워의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왼손을 들어 팔로워가 자신의 오른손으로 맞잡도록 유도한다.

- 다음 Step(9,10)부터는 Outside Underarm Turn과 같고 턴을 한 후 Rock(11)-Step(12)으로 마무리 한다.

 

* Hammer Lock(Basic)

○ Basic

• 왼쪽과 오른쪽 둘다 적용 가능하다. 오픈포지션에서 LeftUnderarmTurn을하되 손을 놓지않는 동작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entry

- 리더는 첫 번째 Step(1,2)에서 Outside Underarm Turn과 같은 요령으로 팔로워를 Turn시키되 오른손을 풀지 않는다.

- 리더의 오른손과 팔로워의 왼손 connection이 연결된 상태에서, 두 번째 Step(3,4)에서 팔로워의 턴이 끝나면 팔로워의 오른손을 우측으로 향하게 하여 자연스럽게 내린다. 그리고 리더, 팔로워 모두 프레임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 때 팔로워의 왼손이 꺾이지 않도록 리더는 자신의 오른손을 최대한 팔로워의 허리 쪽에 붙여야 한다.

- 리더의 오른손과 팔로워의 왼손은 당기는 힘(tension), 리더의 왼손과 팔로워의 오른손은 미는 힘(tension)을 유지시킨다.

- 각자의 시선과 몸이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Rock(5)-Step(6)으로 마무리한다.

• exit

- 양손의 connection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Inside Underarm Turn을 시킨다.

- 손을 계속 맞잡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두 번째 Step(3,4)에서 턴이 끝나면 Open Position이 된다. Rock(5)-Step(6)으로 마무리 한다.

 

□ Hammer Lock(Options)

○ Behind the back(Men's Squatting Position)

- Hammer Lock 상태에서 팔로워 오른팔 아래로 쭈그려 앉아 턴하면서 통과하는 동작이다. 기본적인 원리는 Behind the back(Men's Squatting Position)과 같다.

.리더

1. Step(1,2) : 팔로워의 오른팔 아래로 쭈그려 앉는다. 이 때 팔로워의 팔을 위로 들어 올리지 않고 Open position과 동일하게 지면과 평행한 높이를 유지한다. 그리고 연결되어 있던 리더의 오른손과 팔로워의 왼손은 자연스럽게 풀어준다.

2. Step(3,4) : 180도 반시계방향으로 턴하며 일어선다.

3. Rock(5)-Step(6) : 턴을 한 후 Open position 상태에서 마무리한다.

. 팔로워

• 팔로워는 첫번재 Step(1,2)까지 직선으로 이동하다가 두번째 Step(3,4)에서 리더의 왼손 손바닥으로 만들어진 벽에 의해, 톱니바퀴가 맞물려 돌아가듯이 자신도 자연스럽게 시계방향으로 턴을 하게 된다. 만약 팔로워 오른팔의 프레임이 풀어지게 되면 회전력을 못 받고 팔만 뒤로 꺾이게 되므로 프레임이 깨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 Hammer Lock Charleston

- Hammer Lock 상태에서 킥을 하며 리더와 팔로워가 함께 회전하는 동작이다.

. 리더

1. Rock(5)-Step(6) : Hammer Lock 상태에서 Rock(5)-Step(6)을 한다.

2. Step(1,2) : Step대신 Kick을 한다. 왼발부터 Kick(1,2)을 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Kick(1,2)을 하며 약간 앞으로 전진하여 리더, 팔로워 간격이 좁아진다.

3. Step(3,4) : 전진하는 힘을 계속 이어 오른발로 다음 Kick(3,4)을 한다. 이때 리더는 왼손으로는 밀고, 오른손은 당기는 힘을 유지시켜 팔로워와 함께 회전을 하게 된다.

4. Step(1,2,3,4) : 위 2, 3번 과정을 원하는 만큼 반복한다.

5. Rock(5)-Step(6) : 오른발로 Kick(3)을 하고 Step(4)을 하면서 자신의 몸을 앞으로 기울여 최대한 압축력을 만든다. 이 압축된 힘을 이용해 리더가 뒤로 빠지면서 팔로워도 Rock(5)-Step(6)을 할 수 있게 뒤로 보내준다.

. 팔로워

• 팔로워의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다면, 팔로워 역시 리더가 첫 번째 Kick(1,2)을 할 때 오른발로 Kick(1,2)을 하며 회전하게 된다.

► 리더는 계속 회전하고 있는 팔로워가 확실히 Rock(5)-Step(6)을 할 수 있도록 정확한 신호를 주어야 한다.

► 동작이 끝나면 Hammer Lock 상태에서 가능한 다른 동작을 하면 된다.

 

* Point Step / Kick Step

Basic(Closed Position)

Closed Position 상태에서 Point-Step, Kick-Step을 밟는 동작이다.

• entry

- Closed Position에서 Basic Step을 하다가 Point-Step, Kick-Step동작으로 들어가기 전 Rock(5) -Step(6)에서 Tuck Turn과 마찬가지로 팔로워를 조금 깊게 후진시킨다.

- 첫 번째 Step(1) 타이밍에 오른쪽 어깨를 닫아서 팔로워를 리더쪽으로 끌어당기다가 왼손으로 막아서 팔로워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하며, 발끝으로 살짝 플로어를 찍는다.(=>Point(1))

- 왼손으로 막았던 반동을 이용해 몸이 멀어지기 시작하며, Step(2)을 밟는다.(=>Step(2))

- 서로의 몸이 최대한 멀어져 완전히 바깥쪽을 향한 상태에서 Kick(3)을 한다.(=>Kick(3))

- 어깨가 열렸던 반동을 이용해 몸이 다시 가까워지기 시작하며, Step(4)을 밟는다.(=>Step(4))

- 마찬가지로 위 동작을 원하는 만큼 반복하며 이동하고 싶은 곳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 exit

- [방법1]리더는 Point(1)를 찍을 타이밍에 왼손을 막지 말고 팔로워를 더 몸쪽으로 당기며 팔로워의 오른손을 잡은 자신의 왼손을 리더의 왼쪽상단으로 올린다. 그리고 리더의 왼발을 팔로워 우측으로 Kick 한다. 팔로워는 이동이 막혀 Point(1)를 찍었던 것과는 달리, 리더의 다리 아래로 Kick(1,2)을 하게 된다. 그리고 Rock(3)-Step(4)으로 마무리 한다. (Kick(1,2)-Rock(3)-Step(4)) 그 다음은 Closed Position에서 Basic 상태가 된다.

- [방법2]리더는 Point(1)-Step(2) 후 Kick(3)-Step(4)을 Rock-Step으로 생각하여, Kick을 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Step(3,4)을 밟는다. 팔로워가 Kick(3)-Step(4)을 하고 나면 바로 왼손을 들어 Outside underarm Turn으로 내보낸다.

* Point/Kick Step(Sweet Heart)

• 기본적인 원리는 Closed Position과 동일하다.

• Point(1)-Step(2)을 일반적인 Step(1,2)으로 생각해서 Sweet Heart를 푸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푼다.

* Point/Kick Step(Cuddle)

기본적인 원리는 Closed Position과 동일하다.

• Point(1)할 때 Yoyo와 신호가 다르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Yoyo는 정확히 Step을 밟는 것이고 Point(1)는 Step이 아닌 단지 Point만 찍어야 하는 것이다.

 

* Charleston Basic

○ Basic

• 찰스턴은 8 count로 구성되어 있다. 스윙 음악 역시 8 count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찰스턴 한 동작이 하나의 마디와 맞아 떨어진다.

○ 자세

• 무릎을 약간 굽힌 상태에서 뒷꿈치를 든 채 앞꿈치로 Step을 밟는다. 그리고 상체를 앞으로 숙이고, 걷거나 달릴 때와 마찬가지로, 내딛은 발의 반대쪽 어깨를 움직여 자연스럽게 팔을 흔들어 준다.

○ Bounce

• 모든 스윙 동작이 마찬가지지만, 특히 찰스턴에서는 바운스를 살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Step이 바뀌지 않더라도, 매 count마다 반드시 bounce를 주도록 한다. 지속적인 bounce를 위해서는, 뒷 꿈치를 살짝 든 채 앞꿈치 만으로 Step을 밟도록 한다.

○ 중심 이동

• 찰스턴 동작 전체에서 끊임 없이 무게 중심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count1~4에서는 앞으로, count5~8에서는 뒤로 중심이 이동하면서, 스텝의 위치도 계속 이동 한다.

○ Count별 동작

• 다음 설명은 리더 기준이다. 팔로워의 경우 발의 좌우만 바꾸면 되며, 리더 찰스턴도 함께 연습해 야 한다.

• 1count : Rock-Step에서의 Rock과 마찬가지로 왼발을 일직선상의 뒤로 밟는다.

• 2count : 역시 Rock-Step에서의 Step과 마찬가지로 오른발을 앞으로 밟으며 중심을 옮긴다.

• 3count : 왼쪽 허벅지를 위로 올린다. 접혀있는 무릎을 아래로 눌러 내리는 느낌으로 앞으로 전진하며, Kick을 한다.

• 4count : Kick이 끝난 위치에 그대로 왼발을 내려 놓으며 Step을 밟는다.

• 5count : 중심이 왼발에 실린 상태에서 3count에서와 같은 요령으로 오른발로 Kick을 한다. 이때 앞으로 이동하던 무게중심은 후진할 준비를 한다.

• 6count : 오른쪽 허벅지를 올리면서, Kick했던 다리를 접어 올린다. 이 때 무게중심은 뒤로 이동한다.

• 7count : 후진하며 접었던 다리를 일직선상의 뒷쪽으로 Kick한다.

• 8count : Kick했던 오른발을 그대로 내려놓으며 Step을 밟는다.

 

출처 : http://cafe.daum.net/swinghouse
Posted by kphoto
,